컨텐츠 바로가기
닫기

사회복지포털


여성관련시설

  1. 이용자별
  2. 여성
  3. 여성관련시설
  4. 성폭력 피해 지원시설 현황

성폭력 피해 지원시설

성폭력 피해 지원시설은 올바른 성문화 정착과 건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성폭렬 피해자에 대한 상담 및 보호, 가족의 심리상담, 법률, 의료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시설현황

성폭력피해 상담소 시설현황
시설명 시설장 소재지 전화번호 링크
인천장애인성폭력상담소 박옥숙 인천광역시 남동구 용천로 208 사)882-8369
F)884-8401
바로가기
인구보건복지협회
인천지회부설성폭력상담소
김석순 인천광역시 남동구 용천로 142 사)451-4094
F)451-4096
바로가기
인천해바라기센터(아동) 인천시 남동구 남동대로 769(구월동)
가천의대길병원 응급센터 옆
423-1375
F)432-1375
바로가기

상담소의 활동내용

  • 성폭력 피해를 신고받거나 이에 관한 상담
  • 성폭력 피해로 정정적인 가정생활 및 사회생활이 어렵거나 긴급보호 필요여성 보호시설 입소
  • 가해자에 대한 고소와 피해보상 청구등 사법처리절차 지원
  • 성폭력 범죄의 예방 및 방지를 위한 홍보

성폭력피해 보호시설

성폭력피해 보호시설은 성폭력 피해 여성들의 자립을 돕고 건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숙식과 상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시설현황

성폭력피해 보호시설현황을 시설명, 시설장, 소재지, 전화번호로 나누어 정리한 표
시설명 시설장 소재지 전화번호
성폭력피해 자립지원
공동생활시설
소소
홍선미 비공개 비공개
- 성폭력상담소 또는 1366통하여 연계

보호시설의 활동내용

  • 숙식의 제공
  • 심지적 안정과 사회적응을 위한 상담 및 치료
  • 자립자활교육의 실시와 취업정보의 제공
  • 성폭력 범죄의 예방 및 방지를 위한 홍보

인천해바라기센터(아동)

인천해바라기센터(아동)는 13세 미만 성폭력 피해를 입은 아동과 지적장애인에 대하여 의학적 진단과 평가 및 치료, 사건조사, 법률지원 서비스, 지지체계로서의 가족기능 강화를 위한 상담 서비스 등을 ONE-STOP으로 여성부에서 지원을 받아 무료로 지원해드리고 있습니다.

사업안내

인천해바라기센터(아동) 사업안내
사 업 내 용
의료, 상담, 치료
서비스제공
  •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응급조치
  • 성폭력 피해유형에 따른 외상치료(피해정도 진단 및 증거채취 포함)
  • 성폭력 피해자 정신과적 우선 치료 서비스
  • 성폭력 피해자 가족을 위한 상담 및 정신과적 치료
사건조사 법률지원
서비스제공
  • 피해자 조사(수사)지원
    • 수사관련 진술내용 등 영상물 녹화
    • 증거물 확보 등을 위한 법의학 연계시스템구축
  • 성폭력 피해자 법적절차에 따른 지원

    법률상담 및 고소·고발 업무 진행

  • 기타 법적절차 전반에 관한 지원
전문가 그룹 운영
  • 소아정신과의사, 산부인과 등 의료전문가, 아동심리학자, 사회복지학자, 법률가,
    임상심리사, 성폭력상담전문가 등 인력풀 구성
  • 피해사례에 대하여 종합적이고 총체적인 사실정보 수집 및 분석

One-Stop System 모형

  1. 신고접수 24시간 응급구조

  2. 면담조사

    면담조사
    • 정신과 진료
    • 산부인과 진료
    • 심리 평가
    • 심리 치료
    법적지원
    • 법률자문상담
      (고소자기결정상담)
    • 법률자문상담
      • 신고동행
      • 진술녹화/입회
      • 증거지원
      • 법률상담
      • 2차피해예방/조정
  3. 사후관리

연락처

  • 주소 : 인천시 남동구 남동대로 769(구월동) 가천의대길병원 응급센터 옆
  • 대표번호 : 032-423-1375
  • 팩스번호 : 032-432-1375

여성긴급전화 『1366』

목적:가정폭력·성폭력·성매매 등으로 긴급한 구조·보호 또는 상담을 필요로 하는 여성들이 언제라도 전화를 통해 피해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전국적으로 통일된 국번없는 특수전화『1366』을 365일 · 24시간 운영하여 여성인권을 보호

운영목표

  • One-Stop 서비스 제공의 중심기관으로 육성
  • 여성폭력 관련 상담소, 보호시설 및 112, 119 등 관련기관 연계서비스 제공

주요 임무

  • 전화권역(시·도)별로 설치·운영하여 피해자에 대하여 1차 긴급상담, 서비스 연계 (의료기관, 상담기관, 법률구조기관, 보호시설 등) 등 위기개입 서비스 제공
  • 긴급 상담·안내의 범위
    • 전문상담소(상담원)에 연계가 곤란한 야간·휴일 등 특정시간대의 1차 긴급상담 후 익일 오전 전문상담소로 연계조치
    • 이주여성에 대한 상담은 『이주여성 긴급전화 1366센터(1577-1366)』를 적극 활용할 것
    • 상담의뢰인이 요구하는 내용에 대한 적절한 위기개입이나 긴급한 구조를 위해 119, 112 등의 연계조치 및 관련 상담·의료·법률구조기관 또는 보호 시설 등에 대한 정보제공 등
    • 폭력피해여성에 대한 현장 출동을 통한 긴급피난 현장상담서비스 지원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셨나요?

자료관리 담당자 :
여성가족과 / 여성친화팀
TEL :
032-453-5865
FAX :
032-453-5869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이용조건 : 출처표시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