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동구 Namdong-Gu 구민을 편하게 경제를 활기차게 남동을 새롭게 남동구 Namdong-Gu


재활용안내

  1. 분야별정보
  2. 청소/ 환경
  3. 재활용안내
  4. 쓰레기봉투값 줄이는 방법
쓰레기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우리나라 국민 한사람이 70평생 배출하는 생활쓰레기는 무려 55톤에 이른다고 합니다. 쓰레기 종량제 이후 배출량이 감소하고는 있지만 아직도 버려지는 것들 중에 재활용 할 수 있는 것들이 많습니다.

배출원별 가장 많이 나오는 쓰레기의 비율

  • 가정 : 음식물 쓰레기가 약 50%
  • 사무실 : 종이류가 약 50%
  • 음식점 : 음식물 쓰레기가 약 75.85%

그림으로 보는 생활폐기물의 분해기간

  • 종이

    2~5개월

  • 우유팩

    5

  • 담배필터

    10~12

  • 나무젓가락

    20

  • 일회용컵

    20년이상

  • 가죽구두

    25~40

  • 나일론천

    30~40

  • 금속캔

    100

  • 일회용기저귀

    100년이상

  • 칫솔

    100년이상

  • 알루미늄캔

    500년이상

  • 플라스틱병

    500년이상

  • 플라스틱용기

    500년이상

쓰레기재활용이 우선입니다.

  • 감량과 재활용 : 폐기물을 처리하는데 가장 우선시 되는 것은 감량과 재활용입니다. 가정이나 산업체 모두가 제품의 발생에서부터 철저히 관리하여 폐기물을 원천적으로 줄이고, 다시 자원화 시킬 수 있도록 힘써야 합니다. 재활용은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함으로써 환경오염의 감소와 경제적 이익을 가져오는 1석2조의 효과가 있습니다.
  • 위생매립 : 폐기물의 분해를 쉽게 하고 2차 오염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서는 위생매립 하여야 합니다. 위생매립은 폐기물더미속의 유기물 분해를 촉진시키는 방법으로 침출수의 토양유입을 방지하며 메탄가스를 난방 등의 연료로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 소각 : 소각은 일부의 열을 재이용 하는 것 외에는 자원을 완전히 파괴하는 처리방식입니다. 또한 소각하는 과정에서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이 발생하기 때문에 소각보다는 감량화와 재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재활용의 경제적 효과? 폐기물 처리 방법별 총 사회적 비용 비교

차트에 관한 각 컬려 별 목차(재활용, 매립, 소각)

폐지 : 재활용-50, 매립110, 소각140 / 플라스틱 : 재활용200,매립260,소각250 / 폐유리병 : 재활용-10,매립40 / 고철·캔 : 재활용-20,매립130

재활용의 단계

그냥 무심코 버린 쓰레기들... 그러나 다시 보면 모두 재활용할 수 있는 소중한 보물입니다.

  • 쓰레기줄이기

    • 쓰레기종량제,1회용품 사용억제
    • 포장폐기물 발생 억제 및 재활용 촉진 제도
    • 음식물쓰레기 감량화 및 자원화
    • 사업장 폐기물 감량화
    • 폐기물 부담금 제도
  • 재사용

    • 빈용기 보증금제
    • 리필제품 생산권 고제
    • 알뜰 시장 (재활용센터, 벼룩시장 등)
  • 재활용품 배출

    • 재활품 분리수거
  • 재활용품 회수

    • 재활용품 수거 및 집하시설(자치단체)
    • 비축처리시설(한국환경자원공사)설치
    • 영농폐기물 수거(한국환경자원공사)
  • 재활용

    • 포괄적 생산자 책임제도(ERP)
    • 폐자원 이용목표율 설정
    • 재질, 구조개선을 위한 재활용 평가(자동차,가전)
    • 재활용 산업 지원(자금, 세제, 기술,부지등)
    • 재활용 업체관리(허가,신고)
  • 재활용제품소비

    • 재활용제품 공공기관 우선 구매제
    • 재활용 제품 인증제
    • 교환,판매 매장 확대

쓰레기를 줄이고 재활용 하는 열가지 방법

  • 쓰레기 분리 수거 : 쓰레기 중 재활용품은 분리 배출하면 그만큼 쓰레기의 양이 줄어듭니다.
  • 장바구니 쇼핑 : 장바구니 쇼핑은 쓰레기 종량제 시대를 살아가는 주부의 지혜입니다.
  • 리필제품의 사용 : 완제품보다 가격도 싸고, 쓰레기도 줄어 보다 효율적입니다.
  • 일회용품은 꼭 필요한 때만 : 일회용품은 편리한 반면 쓰레기로 인해 환경오염의 가장 큰 원인이 됩니다.
  • 과대포장의 자제 : 상품 구입시 포장이 없는 것이나 재활용이 가능한 간단한 포장을 선택합시다.
  • 음식물은 먹을 만큼, 쓰레기는 꼭 짜서... : 음식물 낭비를 줄이고 찌꺼기는 화분과 정원의 비료로 사용합시다.
  • 옷과 장난감은 이웃과 함께... : 불필요한 유아용품, 장난감 등은 친지나 이웃의 필요한 사람과 나누어 사용합시다.
  • 고장난 물건은 수리해서 사용 : 일상용품들은 소중하게 사용하고 고쳐 쓰는 검소한 생활습관을 들입시다.
  • 종이는 뒷면까지... : 연습지나 메모지는 이면지를 사용하고 인쇄는 가급적 재생용지를 사용합시다.
  • 재활용 가능표시 제품 사용 : 재활용가능 표시 제품 사용은 쓰레기를 줄이고 자원절약에도 기여합니다.

환경 살리기 방법

야외에서는..

  • 야외에서 음식을 해먹기보다 도시락을 준비합시다.
  • 남은 음식물은 버리거나 땅에 묻지 말고 되가져옵시다.
  • 폭발 위험성이 있는 부탄가스 용기는 반드시 구멍을 뚫어 버립시다.
  • 쓰레기 등잔여물은 땅에 묻거나 하천에 버리지 말고 반드시 지정된 분리수거함에 투입하여 처리합시다.
  • 야생 동식물을 보호합시다.
  • 냇가에서 세차를 하지 맙시다.

사무실에서는..

  • 이면지 사용을 생활화 합시다.
  • 일회용 컵 대신 개인컵을 사용합시다.
  • 재생용지를 사용합시다.
  • 사용하지 않는 전등이나 컴퓨터, 복사기의 전원을 끕시다.
  • 냉·난방기를 사용할 때 바깥과의 온도 차이를 5∼10˚c 정도로 합시다.
  • 사무용품은 리필제품을 사용합시다.
  • 쓰레기 분리수거함을 비치하여 품목별로 배출합시다.
  • 엘리베이터 사용횟수를 줄입시다.

학교에서는..

  • 연습지로 쓰는 종이는 앞뒤로 다 사용하고 노트의 남은 부분들은 잘라서 연습장으로 씁시다.
  • 학생들의 공책은 되도록 재생용지로 만든 것을 사용합시다.
  • 종이를 아껴 쓰고 복사할 때에는 양면 복사하고 이면지 사용을 생활화합시다.
  • 광고전단, 통지문의 뒷면을 전화 메모용지, 게시판 쪽지 등으로 사용합시다.
  • 학교에서 마시고 남은 우유팩을 잘 모읍시다.
  • 학교에서의 폐품수집행사에 적극 참여 합시다.
  • 교과서, 참고서, 동화책은 깨끗이 사용하여 물려주거나 돌려봅시다.
  • 학용품은 꼭 필요한 것만 사서 아껴 쓰고 잃어버린 경우 반드시 찾도록 합시다.

기업에서는..

  • 환경적인 영향 요소를 고려하여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거나 기존제품을 환경에 적합한 제품으로 재구성합시다.
  • 작업장은 물자낭비, 에너지손실, 인력 낭비 등을 줄이기 위하여 합리적으로 다시 배치합시다.
  • 생산공정 중에서 발생되는 폐자원을 회수 다시 재사용하여 폐기물 처리비용을 절감 합시다.
  • 제품의 전과정에 걸쳐 사용되는 물질과 오염물질을 최소화합시다.
  • 생산과정에서 사용된 물품을 되도록 재활용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춥시다.
  • 생산 활동에 있어 기업 스스로 환경적 영향을 평가 관리하는 환경경영체제를 구축 합시다.
  • 환경마크를 부착한 제품생산을 늘립시다.
재활용! 이제 실천합시다!!
쓰레기는 매립이니 소각으로 처리하고 일부는 재활용되는데 그 비용이 막대할 뿐 아니라 처리과정에서 토양이나 수질, 대기를 오염시켜 제2의 환경오염을 일으킨다.
최선의 방법은 쓰레기를 줄이고 재활용하는것!

내가 생활하는 공간에서라도 쓰레기 제로에 도전해 보자!

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셨나요?

자료관리 담당자 :
청소행정과 / 자원순환팀
TEL :
032-453-2560
FAX :
032-453-2559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이용조건 : 출처표시

퀵링크

자주찾는메뉴

닫기

직원업무

닫기

이렇게 검색해 보세요!

원하는 정보를 좀 더 정확히 찾을 수 있습니다.

이름 검색
두자리 이상 입력
ex) 길동
담당업무 검색
한 단어로 입력
ex) 여권
전화번호 검색
국번없이 뒷자리
ex) 2174
대표번호
032-466-3811
야간당직
032-453-2222

알림서비스

닫기

일자리정보

닫기

실시간 채용정보

전체보기

오시는길

닫기

지도 건너뛰기
주소 :
인천광역시 남동구 소래로633 (만수동)
전화번호 :
032-466-3811

TOP